프로그래밍/css 기초 14

CSS 기초 공부(12) - background-clip

background-clip이란 무엇일까?background-clip은 CSS 속성으로, 요소의 배경이 어디까지 표시될지를 결정하는 속성이다.간단하게 용어를 정의하자면 clip은 잘라내다라는 의미다.유튜브 클립, 네이버 클립이 영상의 일부분 만을 잘라서 보여주0는 것처럼 background-clip은 배경의 일부분을 잘라낸다는 의미이다. background-clip의 속성은 border-box, padding-box, content-box 등이 있는데 각 값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border-box : 배경 이미지를 테두리 영역까지 "잘라낸다."padding-box : 배경 이미지를 패딩 영역까지 "잘라낸다."content-box : 배경 이미지를 내용 영역까지 "잘라낸다."text : 배경 이미지를 텍..

크롬 개발자 도구 사용

크롬 브라우저에서 개발자 도구를 열면 다음과 같은 메뉴가 나오게 되는데 그중 화살표 이미지를 누르면  페이지의 요소를 선택해서 검사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각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됐는지 검사 할 수 있는 기능이다. Elements는 html의 구조를 보여준다.Styles는 어떤 css가 적용이 됐는지 볼 수 있고적용된 css의 체크 표시를 통해서 css를 적용하거나 없애거나 할 수도 있다.또 CSS를 수정해서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수정해볼 수도 있다.Computed에서는 현재 레이아웃의 여백 등을 볼 수 있다.

CSS 심화 공부(1) - Float CSS, Clear CSS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글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이미지가 오도록해서 글의 이해를 돕는 경우가 있다.  웹페이지도 마찬가지 인데 이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이 바로 float 속성이다. 최근에는 flexbox나 grid와 같은 더 강력하고 유연한 레이아웃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특정 상황에서는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HTML 이것은 이미지와 함께 float 속성을 사용한 예시입니다. 이미지는 왼쪽에 위치하며, 텍스트는 이미지 주변을 감싸듯이 배치됩니다. float 속성은 웹 페이지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CSS.container { width: 500px; /* 컨테이너 너비 설정 */ border: 0px s..

CSS 기초 공부(11) - input 태그

HTML에서는 태그를 사용해서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텍스트, 비밀번호, 숫자, 파일,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등 다양한 입력 유형을 제공한다. 우리가 흔히 보는 로그인 창도 이런 인풋 태그를 통해서 만들어진다.HTML 이런식으로 다양한 종류의 인풋 태그가 있다. 이러한 인풋 태그를 활용하면 앞서 본 로그인 창이나 파일을 첨부하는 기능, 특정 버튼을 누르면 작동하는 기능 등을 만들 수 있다. input 태그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더보기1. 텍스트 관련 입력 유형text: 한 줄의 일반적인 텍스트를 입력받습니다.password: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며, 입력 내용은 숨겨져 표시됩니다.email: 이메일 주소를 입력받으며, 유효성 검사 기능을 제공합니..

CSS 기초 공부(10) - 이미지

웹페이지를 보면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이미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웹페이지 컨텐츠일 수도 있고 광고나 웹페이지 자체의 로고일 수도 있고 그런 모든 것들이 이미지에 속한다. 바로 이런 광고 등에 사용되는 것들을 예시로 들 수 있을 것이다. 1. 요소 (이미지) 요소는 웹 페이지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src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alt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대체 텍스트를 제공한다.width와 height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HTMLCSSimg { border: 1px solid black; /* 테두리 추가 */ border-radius: 5px; /* 모서리 둥글게 */ box-shadow: 2px..

CSS 기초 공부(9) - 텍스트 스타일

CSS를 인테리어로 비유했을 때 텍스트 스타일은 방에 놓이는 가구의 종류나 세부 디자인 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CSS 텍스트 스타일웹 페이지의 텍스트 모양과 레이아웃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다양한 속성을 사용하여 글꼴, 크기, 색상, 정렬 등을 제어할 수 있다.텍스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 태그들은 다음과 같다.더보기일반적으로 택스트를 꾸며주는 태그들이다. ~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로, 숫자가 작을수록 더 중요한 제목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굵은 글꼴과 큰 글자 크기가 적용된다.:단락을 나타내는 태그로, 일반적인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인라인 요소로, 텍스트의 특정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된다. 기본적인 스타일이 없는 가장 일반적인 텍스트 태그이다.:텍스트를 굵게 표시하여 강조하는..

CSS 기초 공부(8) - 가상 요소(Pseudo-element)란?

앞서 말한 가상 class처럼 가상 요소(혹은 의사 요소)라는 것 또한 존재한다. 가상 요소(Pseudo-element)란?CSS에서 실제 HTML 요소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 가상의 요소를 말한다.가상 요소는 콘텐츠의 특정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하거나, 추가적인 시각적 효과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가상 클래스처럼 선택자를 통해서 선택할 수 있다.가상 요소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다. 가상 요소 생성 : 실제 HTML 코드에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CSS만으로 가상의 요소를 생성한다.특정 부분 스타일 적용 : 요소의 특정 부분(예: 첫 번째 줄, 첫 번째 글자, 요소의 앞/뒤)에 스타일을 적용한다.추가적인 시각 효과 : 콘텐츠 앞에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

CSS 기초 공부(7) - 가상 class

가상 클래스(Pseudo-class)와 가상 요소(Pseudo-element)라는 것이 있는데 별도로 이름을 지정하지 않아도 마치 클래스나 요소가 있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스타일 규칙이라고 볼 수 있다. 가상 클래스(Pseudo-class)란?CSS에서 요소의 특정 상태나 조건을 기반으로 스타일을 적용하는 선택자이다.별도로 class를 지정하지 않고도 class를 지정한 것처럼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의사 클래스라고도 부른다. 주요 가상 클래스 종류 및 예시:hover (마우스 오버)마우스 포인터가 요소 위에 올라갔을 때 스타일을 적용한다.button:hover { background-color: blue; cursor: pointer; }위 코드는 button 요소에 마우스 포인터를..

CSS 기초 공부(6) - class란?

1. Class란?HTML과 CSS는 모두 class라는 요소를 사용하여 각각의 태그를 구분하고, 스타일을 적용한다.HTML에서는 class 속성을 사용하여 요소에 클래스 이름을 부여하고,CSS에서는 클래스 선택자를 사용하여 해당 클래스가 적용된 요소에 스타일을 지정한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CLASS란 하나의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HTML 상에서는 다양한 태그에 CLASS라는 이름을 부여해서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CSS 상에서는 특정 CLASS에 동일한 디자인을 적용 할 수 있다.마치 학교에서 하나의 학급(class)에 다양한 학생들(tag)를 한번에 집어넣고 1반이라고 이름을 정의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편이 이해가 쉬울 것이다.이 문장은 붉은색 글씨입니다.이 di..

CSS 기초 공부(5) - 박스 모델

앞서 CSS가 디자인이라고 설명을 했다. 인테리어에 빗대어 색상은 가구나 방의 색상, 수치는 가구의 크기 등으로 비유했다. 박스 모델은 그 중에서 방의 크기나 가구 사이의 거리, 가구의 테두리, 방과 방 간의 거리 등을 디자인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박스 모델이란?박스 모델을 이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박스모델의 이름의 기원을 아는 것이다. 웹 페이지의 모든 HTML 요소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박스' 형태를 띠기 때문이다.이 '박스'는 콘텐츠, 패딩, 테두리, 마진이라는 네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요소의 크기와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친다.박스 모델의 개념에 들어가기 전에 직접 박스 모델의 형태를 보는 것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 우리들이 흔히 보는 웹 사이트는 모두 이런 박스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