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서드 체이닝 (Method Chaining)
- arr.slice().sort((a, b) => a - b)와 같이 메서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메서드 체이닝"이라고 한다.
- 메서드 체이닝은 메서드가 객체(여기서는 배열)를 반환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slice() 메서드는 새 배열을 반환하므로, 반환된 배열에 바로 sort()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1. arr.slice():
- slice()는 JavaScript 배열의 내장 메서드다.
- 이 메서드는 배열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새로운 배열을 반환한다.
- 인자를 생략하면 전체 배열의 복사본을 생성한다.
2. sort((a, b) => a - b):
- sort()는 JavaScript 배열의 내장 메서드이다.
- 이 메서드는 배열의 요소를 정렬하고, 정렬된 배열을 반환한다.
- sort() 메서드는 비교 함수를 인자로 받아 정렬 순서를 결정한다.
- (a, b) => a - b는 화살표 함수로, 비교 함수를 간결하게 표현한 것이다.
- 이 비교 함수는 배열의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람다 함수이다.
'JavaScript > 개념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속성 및 dataset 속성에 대한 정리 (0) | 2025.03.22 |
---|---|
메모리 구조 (0) | 2025.03.22 |
함수와 메서드(method)란? (0) | 2025.03.21 |
자바스크립트에서 DOM 사용시 알아둘 것 (0) | 2025.03.20 |
람다 함수lambda function)와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 (0) | 2025.03.20 |